본문 바로가기
가볍게읽어보는"국어맞춤법"

[DAY9. 맞춤법] 힘듦vs힘듬/익숙지vs익숙치/조르다vs졸르다/쓰레받이vs쓰레받기/요컨대vs요컨데

by Millymolly 2020. 7. 13.
반응형

 

 

 

※ 힘듦 vs 힘듬

 

그의 얼굴에서 힘듬이 느껴졌다. (X)

그의 얼굴에서 힘듦이 느껴졌다. (O)

 

 '힘들다'의 명사형을 나타내는 단어는 '힘듦'이다.

▶ 간혹 '심들다'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힘들다'만 표준어로 삼는다.

 

 

 익숙지 vs 익숙치

 

새로운 일이 익숙치 않아. (X)

새로운 일이 익숙지 않아. (O)

 

▶ '익숙하지'가 줄면 '익숙지'의 형태로 적는다.

 어간의 끝 음절 '하'가 안울림소리(ㄱ,ㄷ,ㅂ,ㅅ등) 뒤에서 줄어 '익숙지'가 된다.

 

 

 

 조르다 vs 졸르다

 

아이는 장난감을 사달라고 조르곤 했다. (O)

아이는 장난감을 사달라고 졸르곤 했다. (X)

 

▶ 조르다 : 다른 사람에게 끈덕지게 무엇을 자꾸 요구한다는 뜻을 가진 단어의 기본형

 

 

※ 쓰레받이 vs 쓰레받기

 

빗자루와 쓰레받이를 들고 청소를 했다. (X)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들고 청소를 했다. (O)

 

▶ 쓰레받기 : 비로 쓴 쓰레기를 담아내는 기구

 '쓰레받기'와 '쓰레장판'은 모두 널리 쓰이므로 둘 다 표준어로 삼는다.

 

★ 쓰레장판 : 기름 먹인 장판지로 만든 쓰레받기

 

 

 요컨데 vs 요컨대

 

요컨대 실력이 있어야 성공한다는 겁니다. (O)

요컨데 실력이 있어야 성공한다는 겁니다. (X)

 

▶ 요컨대 : 중요한 점을 말하자면을 뜻하는 부사어 

 - 요컨대 내 얘기는 낭비하는 시간을 줄이는 거야.

▶ '예를 들자면'을 뜻하는 말은? 예컨대입니다.

 - 예컨데 (X)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