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녀세액공제2

[종합소득세] 자녀세액공제 관련(2) 저번 페이지에서 자녀세액공제 관련(1)에 대해 보셨을 겁니다. 혹시 못 보셨다면 ↓ 아래 링크를 첨부해 둘테니 한번 읽어보고 오시면 좀 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종합소득세] 추가공제 - 한부모 공제/자녀세액공제(1) 관련 부녀자 공제 관련해서 한부모 공제에도 관심 있어하시는 분들이 많아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아무래도 매일, 매달 하는 신고가 아니다 보니 신고할 때는 알고 있어도 또 내년이 되면 잊어버리는 buyaofangqi.tistory.com 아래 내용은 국세청 자료에서 발췌했습니다. 1. 현재 3자녀(23세, 10세, 3세)가 있는 경우 자녀세액 공제액은? 자녀세액공제액= ①+② = 15만 원입니다. ① (기본공제 대상) : 기본공제가 적용되는 자녀 중 7세 이상 자녀 수가 1명이므로 .. 2020. 7. 14.
[종합소득세] 추가공제 - 한부모 공제/자녀세액공제(1) 관련 부녀자 공제 관련해서 한부모 공제에도 관심 있어하시는 분들이 많아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아무래도 매일, 매달 하는 신고가 아니다 보니 신고할 때는 알고 있어도 또 내년이 되면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저의 경우도 단기 2개월 정도 연초에 연말정산 신고 아르바이트를 했었는데요. 수십수백 건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때는 다 알고 있었는데 지금은 또다시 자료를 찾아봐야 '아! 이 내용이었지'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아래 내용은 국세청 자료에서 발췌했습니다. [추가공제 - 한부모 공제] 1. 배우자(남편)와 별거 중이며, 주민등록상 남편이 자녀와 거주 하면서 부양하고 있는 경우 한부모 공제가 가능한지? 안됩니다. 한부모 공제는 배우자가 없는 근로자로서 기본공제대상자인 직계 비속 또는 입양자가 있는 경우.. 2020.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