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공제3 [종합소득세] 자녀세액공제 관련(2) 저번 페이지에서 자녀세액공제 관련(1)에 대해 보셨을 겁니다. 혹시 못 보셨다면 ↓ 아래 링크를 첨부해 둘테니 한번 읽어보고 오시면 좀 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종합소득세] 추가공제 - 한부모 공제/자녀세액공제(1) 관련 부녀자 공제 관련해서 한부모 공제에도 관심 있어하시는 분들이 많아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아무래도 매일, 매달 하는 신고가 아니다 보니 신고할 때는 알고 있어도 또 내년이 되면 잊어버리는 buyaofangqi.tistory.com 아래 내용은 국세청 자료에서 발췌했습니다. 1. 현재 3자녀(23세, 10세, 3세)가 있는 경우 자녀세액 공제액은? 자녀세액공제액= ①+② = 15만 원입니다. ① (기본공제 대상) : 기본공제가 적용되는 자녀 중 7세 이상 자녀 수가 1명이므로 .. 2020. 7. 14. [종합소득세] 추가공제 - 한부모 공제/자녀세액공제(1) 관련 부녀자 공제 관련해서 한부모 공제에도 관심 있어하시는 분들이 많아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아무래도 매일, 매달 하는 신고가 아니다 보니 신고할 때는 알고 있어도 또 내년이 되면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저의 경우도 단기 2개월 정도 연초에 연말정산 신고 아르바이트를 했었는데요. 수십수백 건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때는 다 알고 있었는데 지금은 또다시 자료를 찾아봐야 '아! 이 내용이었지'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아래 내용은 국세청 자료에서 발췌했습니다. [추가공제 - 한부모 공제] 1. 배우자(남편)와 별거 중이며, 주민등록상 남편이 자녀와 거주 하면서 부양하고 있는 경우 한부모 공제가 가능한지? 안됩니다. 한부모 공제는 배우자가 없는 근로자로서 기본공제대상자인 직계 비속 또는 입양자가 있는 경우.. 2020. 7. 14. [종합소득세] 추가공제 - 부녀자 공제관련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날입니다. 저는 사업자도 아니고 현재 직장인도 아니지만 어쩔 수 없이 부모님의 세금신고를 도맡아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궁금했던 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의 경우는 기장을 한다던가 온전히 혼자만의 힘으로 세금을 신고할 능력은 없어서 온라인세금신고 업체에 도움을 받습니다. 1년 단위로 결제를 하고 매출, 매입만 적절한 칸에 잘 입력만 해주면 나머지 신고서는 알아서 작성을 해줍니다. 신고서 작성을 할 때 제가 직접 넣어야 하는 부분들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부녀자 공제 같은 것들입니다. 종합소득세 신고지만 직장인들이 연말 정산할 때처럼 기본공제도 같이 합니다. 그래서 저는 그중 부녀자 공제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 국세청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아래 내용은 국세.. 2020. 7. 13. 이전 1 다음